데이터 바우처 사업은 중소기업, 소상공인, 1인 창조기업, 예비창업자 등 데이터 기반 혁신을 추진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데이터 구매, 가공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이 주관하며, 2023년 기준 총 894억원의 예산이 투입되었습니다.
데이터 바우처 사업의 지원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중소기업, 소상공인, 1인 창조기업, 예비창업자
- 데이터 기반 혁신을 추진 중인 기업
- 데이터 활용을 통해 신제품, 신서비스 개발, 비즈니스 모델 개선 등을 추진 중인 기업
지원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데이터 구매: 데이터 상품(데이터셋, 데이터베이스, API 등) 구매 비용 지원
- 데이터 가공: 데이터 가공 서비스(데이터 수집, 정제, 변환, 분석 등) 비용 지원
데이터 바우처는 금액별로 3가지 유형으로 구분됩니다.
- 구매 바우처: 300만원, 600만원, 1,000만원
- 일반 가공 바우처: 100만원, 200만원, 300만원
- AI 가공 바우처: 500만원, 1,000만원, 1,500만원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먼저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에서 운영하는 데이터바우처 포털에 회원가입하고, 사업공고를 확인하여 신청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신청서 접수 후 서류심사, 발표평가, 현장실사 등을 거쳐 최종 선정됩니다.
데이터 바우처 사업을 통해 기업은 데이터 기반 혁신을 추진하기 위한 데이터를 손쉽게 확보하고, 가공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업의 경쟁력 강화와 신산업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데이터 바우처 사업의 주요 성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2021년 기준 1,300개 기업, 2,600여건의 데이터 구매, 가공 지원
- 2021년 기준 2,100억원의 경제적 파급 효과 창출
- 2021년 기준 1,200여건의 신제품, 신서비스 출시
데이터 바우처 사업은 매년 확대되고 있으며, 2024년에는 총 1,000억원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입니다. 데이터 기반 혁신을 추진하는 기업은 데이터 바우처 사업을 적극 활용하여 경쟁력을 강화하고, 신산업을 창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공급기업 신청을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내용을 작성 하면 된다 -- 참조 : 온리원 연구소 --
서식 3 (공통) ’24년 공급기업 사업수행계획서
Ⅰ 기업 역량 및 참여 목적
1. 기업 개요 및 핵심 역량
2. 참여 목적 및 취지
3. 데이터 가공 서비스 역량
1) 인적·조직적 자원
2) 물적 자원
4. 유사사업 참여 실적 및 성과
Ⅱ 데이터 가공서비스
1. 데이터 가공서비스의 상품성
1) 데이터 가공 서비스 상품의 소개
2) 데이터 가공 기술의 차별성
3) 데이터 가공 서비스의 샘플
2. 데이터 가공서비스의 상세정보
1) 데이터 이용 수요자의 요청서 확인 및 상담
2) 수요자가 원하는 최종 데이터를 추출할수 있는 SNS 소스의 결정
3) SNS 소스를 크롤링하여 가공하는 기술과 절차
4) 1차 추출된 데이터 샘플을 수요자에게 제공하여 최종 확인
3. 데이터 가공서비스의 품질 확보 방안 – 다중 체크 방식
4. 판매 데이터(또는 가공서비스)의 가격정책 및 단가표
Ⅲ 공급기업 활동전략
1. 공급기업 활동을 위한 자원 활용 전략
1) 인력 조직적 지원
2) 모바일 명함 플랫폼 자원의 활용
3) 자동홍보 플랫폼 자원의 활용
4) IAM GPT 플랫폼 자원의 활용
2. 수요기업 발굴 및 매칭 전략
1). 산업 및 시장 조사
2). 경쟁사 분석
3). 고객 프로파일링
4). 수요기업의 문제 및 Bed Needs 식별
5). 사례 연구 및 성공 사례 공유
6). 마케팅 및 네트워킹
7). 가치 제안 개발
8). 파트너십 및 협력
3. 수요기업 유지보수(후속 지원) 및 협업체계 전략
'AI 자동 플랫폼 > 데이터 바우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바우처 수요 기업 공모 (0) | 2024.01.04 |
---|---|
2024년 데이터 바우처 지원사업 수요기업 모집 (0) | 2023.12.30 |